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8

한줄 팁 - 좌표 입힌 GeoTiff 파일 만들기 공간정보는 크게 벡터형식과 래스터 형식으로 나뉩니다. 벡터 형식은 수학적 기하모형으로 물체의 위치와 형태를 좌표로 계산해 저장해 놓은 것이고, 래스터 형식은 사진과 같은 픽셀 단위로 위치와 형태를 저장합니다. GeoTiff는 래스터 형식중 가장 많이 쓰이는 공간정보 저장을 위한 파일 포맷입니다. 다른 래스터 파일 포맷으로는 ecw, img, jpeg2000 등이 있습니다. GeoTiff 같은 래스터 파일과 일반 사진파일의 가장 큰 차이점은 픽셀 단위로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일반 사진에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는 사진이 찍힌 위치에 대한 Point 위치정보(EXIF GPS Tags)지만, GeoTiff의 경우에는 각 픽셀이 정확히 어느 위치인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일반 사진이나 tif.. 2022. 1. 21.
한줄 팁 - ESRI Shapefile을 GeoJSON으로 변환하기 예전부터 벡터 공간정보 저장을 위한 Shapefile(쉐이프 파일)은 ESRI社에서 만든 포맷입니다. 이 파일은 하나의 파일이 아니라, *.shp, *.shx, *.dbf, *.prj 파일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world 쉐이프 파일을 메일로 보내달라고 하면, world.shp 파일과 함께 world.shx, world.dbf, world.prj 파일을 함께 보내야 받는 쪽에서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shp 파일에는 기하정보(Geometry), dbf 파일에는 속성정보(Attribute), shx 파일은 shp과 dbf간의 관계 맵핑정보가, prj 파일에는 좌표계 정보가 담겨있습니다. 이러한 ESRI Shapefile은 데스크톱 응용 프로그램에서 많이 사용하지만, 웹.. 2022. 1. 20.
Natural Earth - 전세계 자원 봉사자들 구축한 공간 정보가 무료?! 공간 정보를 조금 자세히 보신 분들은 네이버, 카카오 맵에 특정 지역이 표시되지 않고, 지도를 확대 축소할 때마다 지도 오른쪽이나 왼쪽 아래쪽에 데이터의 출처가 표시되는 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어느 나라나 지도 데이터는 옛날부터 국가의 중요한 보안 사항이기 때문에 외부로 유출시키는 것을 엄격히 금지해 왔고 지금도 마찬가지입니다. 관심있는 분들은 구글 지도데이터 반출 뉴스를 들어보신 분들이 있을 겁니다. 구글 지도 데이터 반출 규제 한국만 있다더니...중국 등 21개국 지도 데이터 반출 제한(2016.08.03) -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8/03/2016080385022.html [단독] 지도 반출 포기한 구글...5년 만에 최신 '한국 지도.. 2022. 1. 20.
online - 공간 도형 단순화(Simplify) 온라인 편집 도구 공간정보 오픈 소스로 유명한 것은 PostGIS(postgresql), QGIS, Geoserver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 QGIS는 Desktop 기반의 강력한 공간정보 편집도구입니다. 하지만 Desktop 기반이다보니 설치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공간정보 편집 기능 중 폴리곤의 단순화 작업이 의외로 많이 필요한데 이 기능 한번 쓰겠다고 QGIS를 설치하고 실행시키는 게 번거롭게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폴리곤 단순화는 리아스식 해안처럼 구불구불 꼭지점이 굉장히 많은 폴리곤의 꼭지점 갯수를 줄여서 매끈하게 하는 작업입니다. 이게 행정동 경계를 매끈하게 해서 통계 형태의 지도를 표현할 때 많이 사용합니다. 이럴 때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온라인 무료 도구가 바로 MapShaper 입니다. 원하는 공간정.. 2022. 1. 19.
online - GeoJSON 만들고 확인하기 GeoJSON은 웹에서 공간정보를 표시하고 주고받을 때 많이 사용하는 표준 표기방법입니다. GeoJSON에 대한 위키백과의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GeoJSON(지오제이슨)[2]은 위치정보를 갖는 점을 기반으로 체계적으로 지형을 표현하기 위해 설계된 개방형 공개 표준 형식이다. 이것은 JSON인 자바스그립트 오브젝트 노테이션(Object Notation)을 사용하는 파일 포맷이다.[3][4] GeoJSON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GeoJSON(지오제이슨)[2]은 위치정보를 갖는 점을 기반으로 체계적으로 지형을 표현하기 위해 설계된 개방형 공개 표준 형식이다. 이것은 JSON인 자바스그립트 오브젝트 노테이션(Object Notation)을 사 ko.wikipedia.org 이런 표기법을 손쉽.. 2022. 1. 19.
online - 좌표계 확인, 좌표 확인 및 변환 지구는 둥근데 컴퓨터, 스마트폰 화면, 지도책은 평평하기 때문에 여러가지 수학적인 방법을 동원해 3차원의 지구를 2차원 평면에 표시해 왔습니다. 이를 지도 좌표계라고 부르고 국제적인 표준이 있습니다. 국내외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표기법은 EPSG(European Petroleum Survey Group)을 따릅니다. 각 나라별로 자신의 나라, 지역을 가장 왜곡없이 잘 표현할 수 있는 좌표계를 재정해 사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표준 좌표계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정하고 EPSG에도 등록되어 있습니다. 다양한 좌표계가 있다보니 좌표계간 변환할 일이 자주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GPS에서 사용하는 좌표계는 3차원 구(球, sphere)좌표를 사용하고 네비게이션, 웹 지도 좌표는 2차원 평면이기 때문에 변환.. 2022. 1. 10.